9주차 파트1 - 비동기
node.js 비동기 - 논 블로킹 I/O 비동기 처리 방식 - 비동기 발생 : 실행되는 코드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생긴가는 의미 : 일단 이전 시간이 오래 걸리면, 안 기다려주고 (알아서 하라 그러고) 다음 코드를 무작정 실행함.예) setTimeOut() , setInterval(), query() ... - 비동기 처리 : 비동기가 필요 없을 때가 있음 1. 콜백함수 : 할 일 다 하고, 이거 실행해줘 (= 순서 맞춰서 이걸 뒤에 실행)2. promise (resolve, reject)3. then & catch4. ES2017 promise => async & a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