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방식 : 주로 데이터 요청에 사용 -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 get 요청 발생 -> 이 요청은 url 쿼리 파라미터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 - 요청으로 인수로 있는 문자열이 들어오면 -> 콜백함수 호출함! post 방식 : 데이터를 서버로 제출하는데 사용폼 데이터 전송이나 파일 업로드 시 post 요청 사용요청의 body에 데이터를 담아 서버로 전송 req.params : express.get()에서 문자열로 오는 :/ 뒤에오는 값들을 객체로 저장함 ( = 내 해석이지만, 요청의 파라미터는 ~~~~이다라는 식으로 저장된다고 생각하면 될듯)"/:a/:b"이런 식으로 문자열을 정의하는 경우 localhost:portnum/가/나로 검색하면req.params 에는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