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3

1주자 깃과 깃허브 연결

어제 정리글을 쓰면서 기본모드와 마크다운의 변환에 오류가 많아 머리가 아팠다. 그래서 오늘은 그냥 마크다운 모드로 쭉 쓸 예정이다.글쓰기는 기본모드가 편하지만, 사진 삽입이나 들여쓰기는 마크다운이 더 좋기 때문이다.아무튼 수업에 대해 얘기하자면 드디어 깃허브와 연동하는 법을 배웠다. 이제 슬슬 실습 위주로 수업이 진행돼서 어떻게 정리해야할지 막막하다.실습은 복잡했지만, 강사님이 설명을 잘 해주셔서 이해하기엔 문제가 없었다.깃허브Repository: 깃허브 내의 저장소로 일종의 폴더깃허브에 올리기생성연결 (remote add)올리기 (push)생성: 아래의 New 클릭 생성 시 리드미를 바로 추가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초보자의 경우 화면이 더 복잡해질 수 있어 강사님은 추천하지 않았다. 연..

1주차 깃

오늘을 깃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이번주에는 코딩 자체보단 협업을 위한 툴과 프로그램에 익숙해지는 게 목표인 것 같다.대학 생활 동안 깃을 이해하고 사용하고 싶어 여러번 도전했었는데, 어려워 실패했던 경험이 있다.하지만 놀랍게도 오늘의 강의로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내가 툴에 대한 이해도가 과거에 비해 올라간 점도 있겠지만, 강사님의 자세하고 쉬운 설명이 많은 도움이 됐다.##Part 2 깃깃: 내 컴퓨터 안에서 버전 관리해주는 시스템이자, 깃허브와 소통하는 시스템깃허브: 원격 컴퓨터에서 백업을 담당하는 시스템이자, 내 컴퓨터와 별도로 버전 관리해주는 친구 - 백업: 히스토리 모두 백업 - "별도로"의 의미: 내가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음--> 다른 컴퓨터에도 '깃..

1주차 리드미와 버전 관리

데스코스 기간이 시작 됐다. 첫날은 간단하게 프로젝트와 공유의 중요성, 그리고 버전 관리에 관해 배웠다.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선 리드미 작성이 중요하고, 협업 작업을 위해 깃을 통한 공유를 하게 된다.깃을 사용하면 프로젝트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파트 1 프로젝트프로젝트: 기간 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 개인 프로젝트 vs 팀 프로젝트과거: 개인 현재: 개인 =개인 프로젝트로 인정! 하지만 공유툴 사용 경험 부족협업실무에선 협업 --> 공유!프로젝드 성공을 위해  리드미(설명서) 작성 리드미:.md 확장자.txt와의 차이: 꾸밈이 가능(가독성)md = markdownex) 티스토리, 노션, 깃허브 등리드미 실습 (특수 기호의 조합으로 구조 만들기)1. 2.: 순서 있는 목록- :..